카이유 탐구생활

반응형

최근들어 빌게이츠가 코로나 관련 인터뷰를 하면 빼먹지 않고 빠지는 단어  '한국(south korea)'

코로나 19 대응에 있어 어떻게 강국이 되었을까?

빠른 코로나 테스트
감염자 동선추적

자가격리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지금도 제일 고생하고 있는 의료진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의료전문가도 아닌 빌게이츠의 인터뷰가 왜 영향력을 갖느냐?

5년 전인 2015년 TED강연에서 빌게이츠가 보인 비젼은 전염병의 대유행을 다루는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실을 정부에 알리는 것이었습니다. 이 영상이 주목받게 되면서 빌게이츠의 인터뷰도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빌게이츠 관련 유트브영상

 

다양한 인터뷰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ISnko-PVp6g

 

인터뷰 내용을 살펴보자면,

트래버 노아의 데일리 쇼에서는 빌게이츠는 코로나 19대응의 모델이 될 만 한 나라를 한국으로 뽑았다. 그는 한국의 24시간 안에 검사 결과를 나온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검사 숫자에 집중할 필요가 아니라 중요한 건 속도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외 모든 인터뷰에서 한국을 언급하면서 가장 대응 잘하고 있는 나라로 한국을 언급했다.

 

 

이슈가 되고있는 문 대통령과의 통화

'한국 잘했다' 인터뷰 빌 게이츠…"문 대통령, 위대한 리더쉽"
미국 워싱턴 주정부의 자택대기령에 따라 재택근무 중인 빌 게이츠 이사장은 "대통령을 직접 만나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노력에 감사드리고 싶었다"며 첫 인사했으며,
게이츠 이사장은 "한국이 코로나19를 잘 관리해 세계의 모범이 되고 있다"며 "대통령께서 지도력을 보여주셨고, 저 역시 한국의 대응을 보고 배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치료제·백신 개발 끝을 보자" 문 대통령, 게이츠와 협력 약속
문 대통령과 빌 게이츠 이사장의 통화는 코로나19 백신 개발로 화제를 옮겼습니다.
문 대통령은 게이츠 이사장이 공여한 재단에 한국 정부도 참여하고 있음을 강조했고, 게이츠 이사장은 "글로벌 보건과 코로나 사태 극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반겼습니다.
특히 지난해 7월 출범한 '라이트 펀드'에는 우리 정부와 게이츠 재단, 국내 생명과학기업이 500억원 기금을 함께 출자했는데, 빌 게이츠 이사장은 "올해 두 배 이상 성장시킬 계획"이라고도 말했으며,
문 대통령은 "한국은 여러 연구소와 제약회사가 정부의 강력한 지원하에 치료제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은 완치자의 혈장을 비롯해 많은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며"치료제 개발·보급을 위해서도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빌 게이츠 이사장도 "치료제는 백신보다 빨리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다, 사망자를 감소시키고 의료진의 과부하 역시 막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빠르게 백신이 나와서 코로나 사태가 종영됐으면 좋겠네요.

 

 

 

 

 

지금도 고생하시고 계시는 코로나 관련 의료진 여러분 힘내세요^^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